맨위로가기

아말라와 카말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라와 카말라는 1920년대 인도에서 발견된 두 소녀에 대한 이야기로, 늑대에게 길러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들은 J.A.L. 싱의 기록을 통해 알려졌으며, 발견 당시 아말라는 약 1살 6개월, 카말라는 8살로 추정되었다. 싱은 두 소녀가 늑대와 유사한 행동을 보였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연구와 조사를 통해 싱의 기록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현재는 이 이야기가 조작되었거나, 두 소녀가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이 사건은 문학,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아동 심리학 및 교육 분야에서도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생아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로마 건국 신화 속 쌍둥이 형제로,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로마 건설 위치 다툼 중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살해한 후 로마의 초대 왕이 되었으며, 이 신화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야기로서 예술, 문학,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야생아 - 카스파르 하우저
    카스파르 하우저는 19세기 초 독일에서 유년 시절 기억을 잃은 채 나타나 논란을 일으킨 인물로, 그의 갑작스런 등장과 미스터리한 이야기는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며 대중문화 속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아말라와 카말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아말라와 카말라
출생 추정일아말라:
카말라:
사망일아말라: 1921년 9월 21일
카말라: 1929년 11월 14일
국적인도
관련 정보
참고 문헌http://www.columbia.edu/itc/uwp/journal/E2_Shih.pdf
https://books.google.fr/books?id=iJgqDAAAQBAJ&pg=PT158

2. 싱의 기록

조셉 암리토 랄 싱의 일기는 그가 두 소녀를 늑대 굴에서 구출하여 고아원에서 양육하고, 그들의 죽음을 지켜본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은 23장의 사진과 함께 남아있는데, 사진 중 1장은 아말라와 카말라를 진찰한 의사의 사진이므로, 실제로 소녀들을 찍은 사진은 22장이다. 다만, 이 사진들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1]

싱은 1920년 10월 9일에 자신이 직접 늑대의 굴에서 소녀들을 구출했다고 주장했다.[2] 1920년 10월 17일의 일기에는 늑대 어미의 모성애에 대한 감탄과 함께, 소녀들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 그는 아이들의 이름을 지어주고 거의 10년 동안 일기를 작성하며, 야생 아이들을 관찰하고 재활하려는 노력을 상세히 기록했다.

싱은 전도 여행 중 미드나포르와 모바니 경계에 있는 고담리 마을에서 현지인의 의뢰를 받고 괴물을 쫓던 중, 1920년 10월 17일 흰개미 둔덕에서 늑대와 함께 생활하는 두 소녀를 발견하여 보호했다.[11] 싱은 두 사람을 데리고 10월 28일 고담리 마을을 떠나 11월 4일 미드나포르에 있는 자신의 고아원에 도착하여 그곳에서 보호했다.[11] 11월 24일, 나이가 많은 아이를 "카말라", 어린아이를 "아말라"라고 이름 붙였다. 카말라는 "분홍색 연꽃", 아말라는 "밝은 노란색 꽃"을 의미한다.[12]

2. 1. 발견 및 초기 관찰

1920년 10월, 조셉 암리토 랄 싱은 미드나포르 지역에서 늑대와 함께 사는 두 소녀를 발견하고 보호했다.[2] 싱은 두 소녀의 나이를 각각 1세 6개월(아말라), 8세(카말라)로 추정했다.[12]

싱의 일기에 따르면, 두 소녀는 늑대와 같은 행동을 보였다. 옷을 입는 것을 싫어하고, 익힌 음식을 거부했으며, 네 발로 걸었다. 손바닥과 무릎에는 굳은살이 박혀 있었다.[2] 소녀들은 주로 밤에 활동했고, 햇빛을 싫어했지만 어둠 속에서는 잘 볼 수 있었다. 또한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했다.[2]

소녀들은 날고기를 좋아했고, 땅에 놓인 그릇에서 먹었다. 추위와 더위에 둔감했고, 공포 외에는 다른 감정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밤에는 늑대처럼 울부짖었고, 말을 하지 않았다.[2]

유니티 교회의 작가 이멜다 옥타비아 섕클린은 1929년 저서 ''당신은 무엇인가?''에서 아말라와 카말라의 사례를 언급하며, 두 소녀가 늑대 굴에서 구조되었고 네 발로 빠르게 달렸으며, 그들을 잡은 사람들에게 으르렁거리고 물었다고 썼다.[3]

2. 2. 양육과 훈련

싱과 그의 아내는 두 소녀에게 인간의 행동을 가르치기 위해 노력했다.[11] 싱의 부인은 마사지사였는데, 겨자유를 사용하여 두 사람의 굳어진 관절 등을 마사지해 주었다.[11] 또한 아말라에게는 목이 마를 때 "푸푸"와 같은 소리를 내도록 가르쳤다.[11]

1921년 9월, 두 소녀는 병에 걸려 며칠 동안 혼수 상태가 되었다. 9월 12일에는 기생충을 제거했는데, 아말라의 몸에서 15cm 정도의 벌레가 18마리, 카말라의 몸에서 116마리가 나왔다.[11] 카말라는 병을 이겨냈지만, 아말라는 9월 21일 신장염으로 사망했다.[4][11]

아말라가 죽은 후, 카말라는 두 눈에서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다.[11] 이후 싱 부인이 곁에서 돌보며 마사지를 계속했고, 11월 중순이 지나자 카말라는 건강을 되찾았다.[11]

그 후, 카말라는 직립 이족 보행 훈련을 시작했다. 1923년 6월 10일 처음으로 두 발로 서는 데 성공했고, 조금씩 말을 하기 시작했다.[11] 1926년까지 30개 정도의 단어를 외웠고, 1927년에는 짧고 간단한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되었다.[11]

2. 3. 아말라의 죽음과 카말라의 변화

아말라는 1921년 신장염으로 사망하여 미드나포어 성 요한 교회 묘지에 묻혔다.[4] 카말라는 아말라의 죽음에 애도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두 눈에서 눈물을 흘렸고 아말라의 시신 곁을 떠나려 하지 않았다. 아말라가 사망한 9월 21일부터 9월 27일까지 방 구석에 웅크리고 있었다.[11] 10월에도 카말라는 의기소침한 채로 지냈다.[11]

이후 카말라는 싱 부인의 보살핌과 마사지를 받으며 11월 중순이 지나면서 건강을 되찾았다.[11] 카말라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에 조금씩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녀는 부분적으로 훈련을 받아 다른 인간들과 함께 하는 것에 익숙해졌다.[11] 수년간의 노력 끝에, 카말라는 직립 이족 보행 훈련을 통해 1923년 6월 10일 처음으로 두 발로 서는 데 성공했다.[11] 비록 능숙하지는 않았지만, 약간 똑바로 걸을 수 있게 되었고, 어딘가 빨리 가야 할 때는 종종 네 발로 돌아갔다.[11]

말을 하는 데에도 진전이 있어, 조금씩 말을 하기 시작하여 1926년까지 30개 정도의 단어를 외웠고, 1927년에는 짧고 간단한 문장을 말할 수 있게 되었다.[11] 그러나 1928년 무렵부터 카말라의 건강은 다시 악화되었고, 1929년 9월 26일에 병을 얻어 11월 14일 새벽 4시경, 요독증으로 사망했다.[11]

2. 4. 카말라의 죽음

카말라는 1921년에 사망한 아말라의 죽음을 애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카말라는 사람들에게 더 다가가기 쉬워졌고, 다른 인간들과 함께하는 것에 익숙해졌다. 수년간의 노력 끝에 카말라는 몇 마디 말을 배우고, 약간은 똑바로 걸을 수 있게 되었지만, 어딘가 빨리 가야 할 때는 종종 네 발로 돌아갔다.[3]

1928년 무렵부터 카말라의 건강은 악화되었고, 1929년 9월 26일에 병을 얻었다. 싱의 일기에 따르면, 카말라는 1929년 11월 14일 새벽 4시경, 요독증으로 사망했다.[11]

3. 진위 논란

아말라와 카말라 이야기는 싱의 기록 외에는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하고, 많은 모순점이 발견되어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다양한 버전의 이야기가 존재하고 싱 외에는 다른 증인이 없다는 점이 논란의 핵심이다.[15] 늑대에게 길러졌다는 "신화"는 버려진 아이들의 동물과 같은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고대 인도유럽어족의 개념이라는 주장도 있으며, 이는 선천적 결함을 가진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프랑스 외과 의사인 세르주 아롤레스는 아말라와 카말라의 사례가 야생 아동과 관련된 가장 충격적인 사기극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저서 ''늑대 아이의 수수께끼''(L'Enigme des enfants-loup, 2007)에서 이 사건을 연구하며 다양한 자료를 조사했다.

사회학자인 윌리엄 F. 오그번은 문화인류학자 닐마르 K. 보스와 함께 1951년부터 1952년에 걸쳐 이 일화의 진실성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1959년논문으로 발표했다.[16] 1975년, 영국의 찰스 맥클린은 게젤 아동 발달 연구소의 다락방에서 발견한 싱이 남긴 다수의 문서를 바탕으로 현지 조사를 실시했다.[19] 1993년, 발달심리학자이자 작가인 브루노 베텔하임은, 두 소녀가 선천적으로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고 언급했다.[17][15]

대학 강사 야나이 다카시는 여러가지 의문점을 들어 두 사람이 늑대에 의해 길러졌다는 것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18] 스즈키 고타로는 증거로 제시된 사진에 대해, 서로 다른 날에 촬영된 사진임에도 불구하고 배경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 등에서, 어떤 조작이 느껴진다고 지적했다.[22]

싱의 일기에는 미드나푸르 지방 판사 E. 웨이트의 선서 진술서와 더불어, 주교 H. 파케넘 월시가 "일기의 내용이 진실임을 보증한다"라고 언급한 "서문"이 부착되어 있다.[13] 로버트 징은 주교의 서문, 야생아 사진, 그리고 "프란시스 맥스필드 교수나 킹슬리 데이비스 교수 등 여러 학자들의 보증"을 받은 점 등을 들어 싱 목사의 일기가 신뢰할 만하다고 주장했다.[14]

3. 1. 싱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

싱의 주장에 대한 비판은 여러 방면에서 제기되었다. 우선, 싱의 가족 외에는 두 소녀가 늑대와 같은 행동을 보였다는 목격자가 거의 없다는 점이 지적된다.[15] 싱의 일기, 당시 지역 신문 기사, 편지 등의 내용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되었다.[16] 예를 들어, 싱의 일기에는 두 소녀가 흰개미 둔덕에서 발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당시 지역 신문에는 산탈족에 의해 발견되어 싱에게 인계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16]

증거로 제시된 사진들이 조작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프랑스 외과 의사 세르주 아롤레스는 사진 속 소녀들이 실제 카말라와 다르며, 싱의 요청으로 포즈를 취한 다른 소녀들이라고 주장했다.[21] 또한, 스즈키 고타로는 서로 다른 날에 촬영된 사진임에도 배경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사진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22]

생물학적으로 늑대가 인간 아이를 양육하는 것은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야나이 다카시는 늑대의 수유 방식, 이동 속도, 모유 성분 차이 등을 근거로 늑대 양육설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18]

두 소녀가 자폐증이나 기타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졌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0] 사회학자 윌리엄 F. 오그번과 발달심리학자 브루노 베텔하임은 두 소녀가 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5][17] 세르주 아롤레스는 카말라가 레트 증후군을 앓고 있었다고 주장했다.[21]

이러한 비판들은 싱의 주장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며, 아말라와 카말라 사건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3. 2. 최근 연구

프랑스의 외과 의사 세르주 아롤레스는 자신의 저서 ''늑대 아이의 수수께끼''(L'Enigme des enfants-loup, 2007)에서 아말라와 카말라 이야기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증거를 제시하며 싱의 주장을 반박했다.

  • 싱이 썼다고 주장하는 일기는 카말라가 사망하고 6년 뒤인 1935년 이후에 인도에서 쓰여진 가짜이다. (원본 원고는 미국 의회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10]
  • 1937년에 촬영된 사진들에서 두 늑대 소녀가 네 발로 걷고 날고기를 먹는 모습은 연출된 것이다. 사진 속 소녀들은 싱의 요청으로 포즈를 취한 미드나포르 출신 소녀들이다.[10]
  • 고아원 담당 의사에 따르면, 카말라는 싱이 주장한 신체적 기형(매우 날카롭고 긴 이빨, 관절이 고정된 네 발 보행, 밤에 눈에서 강렬한 푸른 빛을 내는 야간 시력 등)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다.[10]
  • 1951~1952년에 수집된 증언에 따르면, 싱은 방문객 앞에서 카말라가 자신이 묘사한 대로 행동하도록 구타했다.[10]
  • 아롤레스는 싱과 로버트 M. 징그 교수의 편지를 입수했는데, 징그는 이 이야기가 금전적 가치가 있다고 믿고 싱에게 출판 협력을 요청했다. 징그는 싱에게 500USD의 로열티를 보냈다.[10]
  • 징그는 싱의 설명을 진실이라고 믿었지만, 그의 책 ''늑대 아이와 야생인''은 인류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징그는 싱의 설명의 진위를 확인하지 않아 덴버 대학교에서 해고되었다.[10]
  • 카말라는 레트 증후군이라는 신경 발달 장애를 앓고 있었다.[10]


일본과 프랑스의 학자들은 아롤레스의 결론을 지지했다.[10]

사회학자 윌리엄 F. 오그번은 1951년부터 1952년에 걸쳐 닐마르 K. 보스와 함께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1959년에 논문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 싱의 친족 외에는 카말라가 네 발로 걷거나 생고기를 먹는 모습을 본 사람이 없다는 점, 싱의 일기와 지방지의 기록이 모순된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16]

발달심리학자 브루노 베텔하임은 두 소녀가 선천적인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고 언급했다.[17][15]

야나이 다카시는 늑대의 수유 방식, 이동 속도, 그리고 싱의 기록에 나타난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한 특징들을 들어 늑대 양육설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18]

스즈키 고타로는 증거 사진의 배경이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조작 가능성을 지적했다.[22]

4. 문화적 영향

아말라와 카말라의 이야기는 여러 문학 작품과 대중문화에 영감을 주었다. 이들의 이야기는 바누 카필, 제인 옐렌 등의 작가들의 소설과 논픽션, 로버트 베이든-포웰 경의 저서, 아놀드 게젤의 저서, 드라마 프린지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특히 일본에서는 아놀드 게젤의 저서가 번역 출판되면서 교육 및 아동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졌으며, 미우치 스즈에의 만화 『유리가면』에도 영향을 주었다.[23]

4. 1. 문학


  • 바누 카필의 저서 "미래의 아이들을 위한 휴먼애니멀(Humanimal, A Project for Future Children)"은 아말라와 카말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싱 목사의 중재로부터 그들의 이야기를 되찾는 데 중점을 둔다.
  • 제인 옐렌의 저서 [http://janeyolen.com/works/children-of-the-wolf/ 늑대의 아이들(Children of the Wolf)]은 청소년 독자를 위한 이야기의 소설화된 이야기이다.
  • 제인 옐렌과 하이디 E.Y. 스템플의 저서 [http://janeyolen.com/works/history-mystery-the-wolf-girls/ 역사 미스터리: 늑대 소녀들(History Mystery: The Wolf Girls)]은 이 이야기를 다룬 어린이 논픽션 도서이다.
  • 로버트 베이든-포웰 경은 1940년 저서 ''케냐의 스케치 더 보기(More Sketches of Kenya)''의 6장에서 이 이야기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 아놀드 게젤의 저서 늑대 아이와 인간 아이(Wolf Child and Human Child) 또한 싱의 이야기를 비판 없이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다.
  • 프린지 (드라마), HBO 드라마는 시즌 1, 에피소드 15 (내면 아이 (프린지))에서 이들을 언급한다.
  • 일본에서는 1955년에 번역 출판된 『늑대에게 길러진 아이』(아놀드 게젤 저, 이쿠츠키 마사코 역, 신교육협회)에 의해 이 일화가 소개되어 알려지게 되었으며, 교육 및 아동심리학 분야에서 여러 번 참고되고 있다.
  • 미우치 스즈에의 소녀 만화 『유리가면』의 극중극 『잊혀진 황야』는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
  • 싱 본인의 저서도 1977년에 일본어로 번역되었다.:『야생아의 기록 1 늑대에게 길러진 아이』(1977년) J.A.L. 싱 (저), 나카노 요시타츠 (번역), 시미즈 토모코 (번역), 후쿠무라 출판

4. 2. 대중문화

바누 카필의 저서 "미래의 아이들을 위한 휴먼애니멀(Humanimal, A Project for Future Children)"은 아말라와 카말라를 중심으로 싱 목사의 이야기에서 그들을 되찾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인 옐렌의 저서 [http://janeyolen.com/works/children-of-the-wolf/ 늑대의 아이들(Children of the Wolf)]은 청소년 독자를 위한 소설화된 이야기이다.

제인 옐렌과 하이디 E.Y. 스템플의 저서 [http://janeyolen.com/works/history-mystery-the-wolf-girls/ 역사 미스터리: 늑대 소녀들(History Mystery: The Wolf Girls)]은 이 이야기를 다룬 어린이 논픽션 도서이다.

로버트 베이든-포웰 경은 1940년 저서 ''케냐의 스케치 더 보기(More Sketches of Kenya)''의 6장에서 이 이야기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아놀드 게젤의 저서 늑대 아이와 인간 아이(Wolf Child and Human Child) 또한 싱의 이야기를 비판 없이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다.

프린지 (드라마) 시즌 1, 에피소드 15 (내면 아이 (프린지))에서 이들을 언급한다.[23]

일본에서는 1955년에 번역 출판된 『늑대에게 길러진 아이』(아놀드 게젤 저, 이쿠츠키 마사코 역, 신교육협회)에 의해 이 일화가 알려졌으며, 교육 및 아동심리학 분야에서 여러 번 참고되고 있다.[23] 미우치 스즈에의 소녀 만화 『유리가면』의 극중극 『잊혀진 황야』는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

싱 본인의 저서도 1977년에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 『야생아의 기록 1 늑대에게 길러진 아이』(1977년) J.A.L. 싱 (저), 나카노 요시타츠 (번역), 시미즈 토모코 (번역), 후쿠무라 출판

5. 한국에서의 소개

1955년 아놀드 게젤의 저서 《늑대에게 길러진 아이》가 번역 출판되면서 한국에 알려졌으며, 교육 및 아동심리학 분야에서 여러 번 참고되고 있다.[23] 미우치 스즈에의 만화 유리가면의 극중극 《잊혀진 황야》는 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1977년에는 싱의 저서 《야생아의 기록 1 늑대에게 길러진 아이》가 나카노 요시타츠와 시미즈 토모코의 번역으로 후쿠무라 출판에서 한국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참조

[1] 논문 Daughters of the Wild: The Feral and Human Perspective http://www.columbia.[...]
[2] 간행물 "Wolf-Children" William Glaisher Ltd. 1940-03
[3] 웹사이트 What Are You? http://www.truthunit[...] Unity Classic Library 2nd Edition. Unity Village, Missouri: Unity Books, 2004 1929
[4] 서적 Feral Children and Clever Animals: Reflections on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10-26
[5] 간행물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934
[6] 간행물 The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1959
[7] 서적 Kaspar Hausers Geschwister – Auf der Suche nach dem wilden Menschen Deuticke, Vienna/Frankfurt 2003
[8] 서적 Huichol Mythology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4
[9] 서적 De quelques mythes en psychologie : Enfants-loups, singes parlants et jumeaux fantômes Le Seuil 2016
[10] 문서 『野生児と自閉症児―狼っ子たちを追って』27-62頁
[11] 문서 以下、特に脚注を付していない部分は『狼に育てられた子―カマラとアマラの養育日記』に掲載されているシング牧師の日記を参照。
[12] 문서 『野生児と自閉症児―狼っ子たちを追って』3頁の訳者まえがきより。
[13] 문서 これらは『狼に育てられた子―カマラとアマラの養育日記』1-5頁。
[14] 문서 『狼に育てられた子―カマラとアマラの養育日記』19-29頁の「はじめに(続)」を参照。
[15] 간행물 Feral Children and Autistic Children 1959-03
[16] 문서 『野生児と自閉症児―狼っ子たちを追って』 107-244頁
[17] 웹사이트 Wolf Child http://www.reference[...]
[18] 문서 外部リンクの節で示した「“オオカミに育てられた少女”は実在したか」を参照。
[19] 문서 以下、『ウルフ・チャイルド―カマラとアマラの物語』 278-288頁
[20] 간행물 The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1959
[21] 서적 Kaspar Hausers Geschwister - Auf der Suche nach dem wilden Menschen Deuticke, Vienna/Frankfurt 2003
[22] 문서 『オオカミ少女はいなかった 心理学の神話をめぐる冒険』、11-15頁
[23] 문서 『狼に育てられた子―カマラとアマラの養育日記』194-195頁の訳者あとがき、『ウルフ・チャイルド―カマラとアマラの物語』298頁の訳者あとがきより。
[24] 논문 Daughters of the Wild: The Feral and Human Perspective http://www.columbia.[...]
[25] 서적 De quelques mythes en psychologie : Enfants-loups, singes parlants et jumeaux fantômes Le Seuil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